-
우량기업부와 중견기업부는 코스닥 시장에서 상장기업을 구분하는 데 사용하는 용어입니다.
KOSDAQ이 KOSPI에 비해 작은 기업들이 모여있고, 그 만큼 하이리턴, 하이리스크 투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투자자들의 의사결정을 돕기 위해, 코스닥 시장을 운영하는 주체인 KRX에서도 일정 기준으로 기업들을 분류하여 등급을 부여하고 있습니다. 매년 5월 초가 첫 매매거래일에 발표가 됩니다. 1년에 한 번 소속부 변경이 되는 기업들도 있습니다. 우량, 중견, 벤처, 기술성장 기업부 4개로 나뉘고 주의환기 종목도 이 때 지정됩니다.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아야 하는 코스닥 상장기업들은 이 시즌이 되면 승격 여부, 소속부 변경에 관심이 곤두서죠.
우량기업부, 중견기업부 코스닥 소속부 지정과 변경
코스닥 상장 기업의 소속부 지정과 변경은 매년 5월 초에 최초 매매거래일에 발표되는데요. 최근 년도 사업 보고서 등을 기준으로 심사하여 소속부 변경이 정해집니다.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따르면 기업규모(시가총액, 자기자본), 재무상태(자본잠식, ROE), 경영성과(매출, 당기순이익 등), 기업경영 건전성, 업종 등 기업의 특성과 투자자 보호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발표한다고 합니다. 매 년 5월이 되면 승격과 하락 등으로 소속부 변경이 되는 상장 기업들이 있고, 투자주의 환기종목이나 관리종목으로 지정되는 법인들도 있습니다.
우량기업부 vs 중견기업부
우량기업부는 코스닥 시장에서 가장 좋은 등급입니다. 자기자본 700억원 이상 혹은 시가총액 최근 6개월 평균 1,000억원 이상이어야 합니다. 자본잠식이 없어야 하고 이 외 여러 조건들이 붙습니다. 현재 우량기업부에 소속되어 있는 대표적인 기업은 한국파마, 녹십자웰빙, 셀트리온제약 등이 있습니다.
우량이 지정되고 나면, 기술성장기업부, 벤처기업부가 지정이 되고 남은 기업 중 일정 조건을 충족하는 기업들은 중견기업부로 분류가 됩니다.
중견기업부는 자기자본 700억원 이상 또는 시가총액 최근 6개월 평균 1000억원 이상이면서 자본잠식이 없고 최근 3년간 연속적으로 영업이익을 내고 있는 기업에게 부여되는 소속입니다.
벤처기업부는 기술력과 성장력을 인정받은 기업에게 부여되는데요. 코오롱생명과학, 미래나노텍 등이 있습니다.
상장규모별 시장운영규정은 코스닥 시장에서 기업의 규모와 재무상태 등을 기준으로 나누어진 소속부마다 다르게 적용되는 규정입니다. 이 규정은 상장규모별로 시장운영규정을 다르게 적용하여 기업의 성장과 안정적인 시장운영을 돕는 것이 목적입니다. 예를 들어, 우량기업부에 속한 기업은 상장규모가 크기 때문에 일반적인 기업보다 더 많은 정보공시를 해야 하며, 투자자 보호를 위한 제도가 강화됩니다.
우량기업부에 속한 기업은 상장규모가 크기 때문에 일반적인 기업보다 더 많은 정보공시를 해야 하며, 투자자 보호를 위한 제도가 강화됩니다. 예를 들어, 우량기업부에 속한 기업은 연간 보고서에서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자본변동표 등을 공시해야 하며, 이를 통해 기업의 재무상태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또한, 우량기업부에 속한 기업은 주식의 유동성을 높이기 위해 시장메이커 제도가 적용되어 있습니다. 시장메이커는 해당 종목의 매수/매도 호가를 유지하면서 거래를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소속부에 따라 투자자들이 봐야할 점은 다릅니다.
코스닥 우량기업부에 속하는 기업들은 대체로 안정적이고 성장 가능성이 높은 기업들이므로,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들이나 장기간 투자를 원하는 투자자들에게 적합합니다. 이러한 기업들은 대체로 안정적인 재무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높은 자산 규모와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여줍니다. 이에 따라, 주로 배당 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들이나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들에게 적합합니다.
반면에 코스닥 중견기업부에 속하는 기업들은 성장 가능성이 높은 기업들이므로, 고위험 고수익 투자자들이나 성장성에 주목하는 투자자들에게 적합합니다. 이러한 기업들은 대체로 안정적인 재무상태를 유지하고 있지만, 대기업에 비해 규모가 작고 불안정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주로 성장 가능성에 주목하는 투자자들이나 고위험 고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들에게 적합합니다.
어떤 소속부에 속하던 간에, 투자자들은 기업의 재무상태, 경영진의 역량, 기업의 성장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투자 결정을 내리는 것이 중요합니다.우량기업부중견기업부 '경제 쉽게 풀기 > 주식 쉽게 풀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동평균선이란? 종류, 보는법 총정리 (1) 2023.04.25 숏 롱 포지션 차이, 트레이딩 용어 정리 (1) 2023.04.06 주식 포트폴리오의 개념과 구성 방법 (1) 2023.03.19 코스피, 코스닥, 코넥스 특징 정리 (3) 2023.03.18 주식 거래 수수료의 의미와 종류 (2) 2023.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