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h 전세임대주택은 도심 내에서 저소득층과 보호 대상자들이 안정적인 주거 환경을 누릴 수 있도록 서울주택도시공사가 전세계약을 체결하여 제공하는 주택입니다.
이러한 주택은 기초생활수급자와 한부모가족 등에게 현 생활권에서 지속 가능한 주거 기회를 제공하여 사회적 안전망을 강화하고 국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전세임대주택의 개념, 공급 대수와 사업 지역, 모집 시기, 지원 대상 주택과 지원 한도액, 입주자 부담 금액, 임대 조건, 신청 절차 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전세임대주택 개요
도심 내 저소득층이 안정된 거주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서울주택도시공사가 전세 계약을 체결하여 입주 대상자에게 임대하는 주택입니다.
sh 전세임대주택
기초생활수급자와 보호 대상 한부모 가족 등 도심 내의 저소득층이 현 지역에서 안전하게 거주할 수 있도록, 입주를 희망하는 주택을 찾은 후, 소유자와 서울주택도시공사가 전세 계약을 체결하여 입주 대상자에게 재임대하는 주택을 의미합니다.
sh 전세임대주택 공급 대수, 사업 지역, 모집 기간
사업 지역
서울특별시
공급갯수
국토교통부와 연초 협의 후 결정
- 2023년 3,000호(기존 주택: 2,700호, 신혼부부Ⅰ: 100호, 신혼부부Ⅱ: 200호)
모집 기간
신문 공고와 서울주택도시공사 홈페이지 참조
대상 주택, 지원 한도 금액, 입주자 부담금
전세임대주택 지원 대상건물
다가구, 다세대, 단독주택, 연립주택, 아파트, 주거용 오피스텔 중 국민주택 규모(전용 85㎡ 이하) 주택.
주거용 오피스텔의 경우, 바닥 난방, 세면, 취사 시설, 화장실이 설치되어야 함.
1인 가구의 경우 전용 60㎡ 이하의 주택 공급 가능전세임대주택 지원 한도 금액
기존 주택: 호당 1억 3,000만원 (실 지원 금액은 95%인 최대 1억 2,350만원)
신혼부부Ⅰ: 호당 1억 4,500만원 (실 지원 금액은 95%인 최대 1억 3,775만원)
신혼부부Ⅱ: 호당 2억 4,000만원 (실 지원 금액은 80%인 최대 1억 9,200만원)
지원 한도를 초과하는 주택의 경우, 초과하는 보증금을 입주자가 추가 부담할 경우 지원 가능.
보증금 최대 금액은 호당 지원 한도액의 250% 이내로 제한되며, 세대원 수가 5인 이상일 경우 초과 가능
전세임대주택 입주자 부담 금액
- 기존 주택, 신혼부부Ⅰ: 지원 한도액 범위 내 전세보증금의 5%
- 신혼부부Ⅱ: 지원 한도액 범위 내 전세보증금의 20%
지원 한도액을 초과하는 주택의 경우, 초과하는 보증금은 입주자가 추가 부담전세임대주택 지원금액
월 임대료, 전세지원금 중 입주자 부담 보증금을 제외한 금액의 연 1~2% 이자 해당액
sh 전세임대주택 임대 기간
- 기존 주택, 신혼부부Ⅰ: 최초 임대 기간 2년, 2년 단위로 재계약 9회까지 가능(최장 20년 거주)
- 신혼부부Ⅱ: 최초 임대 기간 2년, 2년 단위로 재계약 2회 가능(최장 6년 거주) 자녀가 있는 입주자의 경우 2회 추가 재계약 가능(최장 10년 거주)
- 재계약 시점에 자격심사 시 전세임대주택 입주 자격 요건을 충족해야 하며, 소득 및 자산 기준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 임대보증금 및 임대료가 할증될 수 있음
- 재계약 당시 만 65세 이상 계약자 또는 『장애인 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 제2조에 따른 중증장애인은 재계약 횟수를 제한하지 않음
신청 절차
다음의 내용을 참조하십시오.
- 1단계 입주 신청 - 서울주택도시공사
- 2단계 입주자격 검증 및 조사 - 관할 구청
- 3단계 최종 대상자 발표 - 서울주택도시공사
- 4단계 입주 희망 주택 물색 - 서울주택도시공사
- 5단계 주택 심사(권리 분석) - 서울주택도시공사
- 6단계 임대차 계약 체결 - 임대인, 서울주택도시공사, 입주자
- 7단계 입주 - 입주자
문의처
신청 접수 및 입주자 선정 관련 사항
주민등록 등재 거주지 구청, 동 주민센터 사회복지 담당 부서
임대주택 및 임대 공급, 입주 등 관련사항
서울주택도시공사 콜센터 1600-3456
홈페이지 http://www.i-sh.co.kr
전세임대주택은 저소득층 뿐만 아니라 신혼부부 등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에게 안정적인 주거 환경을 제공하여 사회적 안전망을 구축하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도심 내 주거 공간의 수요와 공급을 안정화시키고, 국민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경제 쉽게 풀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취업지원제도 1유형 2유형 총정리 (0) 2023.04.23 청년월세 한시 특별 지원금 총정리 (0) 2023.04.23 채권투자: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는 투자 방법 (1) 2023.04.03 회사 채권의 특징과 투자 전략 (0) 2023.04.02 채권 발행 방법 - 공모, 사모 차이점 (0) 2023.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