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말에 공개된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세부사항이 몇 일 전에 공개되었습니다. 올해 6월부터 신청을 받을 예정인데요. 진짜 5천만원을 모을 수 있을지, 이자는 얼마나 되는지, 세부사항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을 살펴봅니다. 먼저, 청년이어야만 신청할 수 있습니다.
- 나이 : 만 19세~34세
- 소득조건 : 총급여 7,500만원 이하 &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 (모두 충족해야 함)
소득조건의 경우, 국세청 신고소득을 기반으로 하기에 근로소득이 없는 경우 청년도약계좌 신청이 불가능합니다. 총급여는 1년 동안 벌어들이는 금액이라 이해가 쉬운데요, 가구소득 중위180%는 얼마일까요? 가구원수에 따라 다릅니다.
2023년 기준으로 가구원수 별 중위소득 180%는 다음과 같습니다.- 1인가구 : 3,740,206원
- 2인가구 : 6,221,079원
- 3인가구 : 7,982,669원
- 4인가구 : 9,721,735원
- 5인가구 : 11,395,238원
- 6인가구 : 13,010,366원
이전 정부가 진행한 청년희망적금 제도는 총급여 기준이 3,600만원 이하로 설정되어 있었으나, 중위소득에 대한 기준은 미포함되어 있었습니다. 반면에 현 정부의 청년도약계좌는 총 급여 기준이 크게 완화되었지만, 중위소득 기준이 적용되었습니다.이러한 변화는 청년희망적금 당시 가구소득을 고려하지 않아 부유한 계층에도 혜택이 돌아가는 문제가 제기되었기 때문에 이루어진 것입니다. 두 가입조건 모두 충족해야 한다는 점을 꼭 기억하셔야 합니다.
또한 직전 3년동안 한 번이라도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에 해당된다면 가입이 불가능합니다. (금융소득 2천만원 초과하는 경우)청년도약적금 정부기여금
청년도약계좌의 특징은 정부기여금 지급 및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점입니다.
- 정부기여금은 가입자의 연간 총급여액과 매월 납입하는 금액에 따라 결정되며, 소득이 낮은 청년일수록 정부기여금이 많이 지급됩니다. 총급여 4,800만원 이하인 경우 월 40~60만원을 납입하면 최대의 정부기여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비과세 혜택은 금융소득에 대한 세금이 면제되는 혜택으로, 청년도약계좌를 통해 이자소득이 발생할 경우 이에 대한 세금 부담이 없어집니다. 이러한 혜택은 금융소득이 2,000만원을 초과하지 않는 가입자에게 적용됩니다.
청년도약계좌를 이용하면 청년들이 소득에 따른 부담 없이 저축을 늘릴 수 있으며, 정부의 지원을 통해 더 높은 이자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 상품을 활용해 청년들이 안정적인 미래를 준비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청년도약적금 금리
청년도약계좌는 가입 후 처음 3년 동안 고정금리를 적용하고, 그 이후 2년 동안 변동금리가 적용되는 구조입니다.또한, 3년 이상 고정금리가 적용되는 상품 출시도 협의중이라고 합니다. 저소득 청년층에게는 더 큰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일정 수준의 우대금리(예: 50bp)를 부여하는 방안도 협상할 계획이라고 하네요.
만기 시에는 개인 납입금, 정부 기여금 및 경과 이자가 합산된 금액이 지급되며, 이자소득에 대해서는 비과세 혜택이 적용됩니다.
중도해지시에는 기여금과 이자 비과세 햬틱 모두 적용받을 수 없지만, 특별중도해지 사유에 해당하면 두가지 혜택 모두 받을 수 있습니다. 특별중도해지 사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가입자 본인의 사망 또는 해외이주
- 가입자의 퇴직
- 사업장의 폐업 (회사가 망했어요..)
- 천재지변
- 장기치료가 필요한 질병
- 생애최초 주택 구입
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 중복 가입 가능 여부
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 중복가입은 불가능합니다. 하지만 청년희망적금을 만기수령한 후,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하는 것은 가능합니다.
쳥년도약계좌 중심의 연계지원을 통한 실질적 자산형성 지원 효과를 확대한다고 합니다. 저소득 청년층에게 추가적인 지원을 위한 복지 상품과 중소기업에서 일하는 청년들을 위한 고용 지원 상품이 동시에 가입이 가능합니다. (내일저축계좌, 내일채움공제 등)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
아직 금융기관과 구체적인 조건, 그리고 신청방법은 확정되지 않았습니다. 이제 곧 6월인데 아직이네요. 궁금한점은 서민금융진흥원콜센터(1397)로 문의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청년도약계좌는 어느 정도 실효성이 있고, 특정 소득구간의 청년들에게는 5천만원을 모으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정부기여금과 금리 등의 혜택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소득과 가구소득 상황을 고려한 종합적인 판단이 필요하며, 다른 금융상품과 비교하여 신중하게 선택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금융위원회 보도자료를 첨부합니다.230308 (보도자료) 청년도약계좌 취급기관 모집 및 운영방향 중간발표.pdf0.31MB230308 (별첨) 청년도약계좌 관련 중간 발표 주요 QA.pdf0.39MB'경제 쉽게 풀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로자의 날 우체국 휴무 (0) 2023.04.28 청년내일저축계좌 정리 (0) 2023.04.26 근로자의 날 휴무 5월 1일 (0) 2023.04.24 국민취업지원제도 1유형 2유형 총정리 (0) 2023.04.23 청년월세 한시 특별 지원금 총정리 (0) 2023.04.23